본문 바로가기

영화

<500일의 썸머> 썸머는 진정 나쁜여자였을까?


500일의 썸머 (2010)

(500) Days of Summer 
7.8
감독
마크 웹
출연
조셉 고든-레빗, 조이 데이셔넬, 패트리샤 벨처, 레이첼 보스톤, 이베트 니콜 브라운
정보
로맨스/멜로, 코미디 | 미국 | 95 분 | 2010-01-21
글쓴이 평점  



지리한 시험기간이 끝나고, 가장 먼저 보게 된 영화입니다.
여운이나 메세지를 남겨주는 영화를 보고 싶어서, 나름 아껴두었던 작품이지요.
시험이 끝나서 홀가분 한 마음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진지하고 깊은 사랑에 별 관심없는 여자와 그런 여자를 정말 정말 사랑하는 남자의 이야기.

영화는 잔잔한 분위기 속에서 시작하고 끝이 납니다.
그러나 영화가 주고자 하는 메세지는 일관되어 보였습니다.

우연은 없으며, 내가 나의 운명을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걸.

썸머와의 사랑을 통해, 썸머를 얻지는 못했지만 다음해 Summer(여름)에 같이 지낼 수 있는 인연을 만드는 법을 배웠습니다.
그녀와의 아픈 추억에서 깨달았기 때문이에요. 우연에 기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만들어 나아가는 것이라는 걸.

그녀가 들려준 말에서 그는 깨달았어요.
그렇게 그는 자신의 운명을 만들어 나가는 시도를 하면서...영화는 끝이 납니다.


썸머는 나쁜년이야. 라는 말을 몇번 본 기억이 있습니다.
아마 영화안에서 나왔던 말인지도 모르겠어요.
그런데, 썸머는 꼭 나쁜 여자도 아닐 거라 생각해요.

단지 조금 성숙하지 못했고, 자신 그대로를 인정할 줄 몰랐고. 이런 걸꺼에요.
이것을 보고 "너는 참 나빠, 무지해"라고 비난할 수는 없지 않잖아요.
우리는 썸머가 미성숙하고 자신을 받아들일 준비가 안되어 있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상처입은 탐이 안타깝게 여겨지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탐에게 상처만 남은 것은 아니니, 탐에게도 성숙의 기회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도 필연과 운명만 기다리며 붙잡고 있던 나날들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경험을 한 것이니까요.

탐도 이제는, 계속 썸머는 나쁜년이라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기 위해 움직입니다.
머뭇거리고 소극적으로 행동하지 않습니다.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운명을 만들어나가죠.


"면접 끝나고, 커피 한 잔 하실래요?" 처럼 말이죠.